본문 바로가기

세상을 향한 도전25

UST 연구 인턴, 면접은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 UST 인턴 후기 4편) 어느덧 UST 인턴 후기도 4편째를 맞이했다. 이번에 다룰 내용은, 'UST 연구 인턴 면접을 어떻게 준비해야하는가?'이다.  사실 내가 지원한 한국 기계 연구원의 경우, 1차 서류 전형을 통과하고 면접 전형이 없었다! 그래서 오직 서류만으로 합격을 한 케이스인데, 주변에 면접을 본 친구들이 3명 있기 때문에 그 친구들의 경험담을 빌려 면접 준비 방법을 작성해보겠다.    면접 안내 UST 인턴십의 전체적인 선발 일정은 다음과 같이 안내되어 있다.  이 때 면접 전형의 경우, 지원 서류 접수 마감일(5월 3일)부터 합격자 발표일(5월 31일) 사이에 이루어지게 된다.  내가 지원했던 23년 하계 인턴의 경우, 5월 4일에 지원서를 최종 제출했다.  그리고 5월 14일에 서류 전형 합격 메일과 함께, 면접.. 세상을 향한 도전/인턴, 교육 프로그램, 장학금 2024. 5. 26.
UST 연구 인턴 자기소개서 합격 예시 공유! ( UST 인턴 후기 3편) UST 인턴 후기 3편에서는 자기소개서 작성 팁과, 제가 UST 인턴에 합격했을 당시 작성한 자기소개서 예시를 일부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저는 23년 하계 인턴십에 참가했지만, 사실 23년 동계 인턴십(23년 1월 진행)에도 지원을 했었는데요. 아쉽게도 23년 동계 인턴십에서는 탈락했었습니다.. 이에 23년 하계 인턴십에 재지원할 때 자기소개서를 꽤 수정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잘 쓴 글은 아니지만, 그래도 두 번 자기소개서를 작성해본 경험을 바탕으로 UST 연구 인턴 자기소개서 작성 팁을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UST 인턴 합격 인증 생각해보면 1편에서 먼저 인증을 하고 시작했어야 했는데, 이제야 생각이 났네요.  뒤늦게 3편에서 합격 인증을 합니다! 1년이 지나서 합격 화면.. 세상을 향한 도전/인턴, 교육 프로그램, 장학금 2024. 5. 25.
UST 연구 인턴, 연구소 선택 시 주의사항 - 학벌의 함정 (UST 인턴 후기 2편) 지난 글에서 UST 인턴 지원 시 연구소 및 연구실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다뤄봤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원 시 고려하실 사항을 추가로 적어보려고 하는데요.  바로 지원자의 학벌과 연구소 선택과의 상관 관계입니다. 이렇게 말하면 "최상위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유리한가?"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실상은 그 반대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은 연구소(연구실 단위 X) 별로 상이한 것으로 파악했는데요, 관련된 이야기를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입학 희망자'를 위한 프로그램 먼저 UST 인턴십 프로그램의 취지를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UST 인턴 모집 공고에서는 다음과 같이 인턴십 프로그램의 취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크게 두가지인 것을 알 수 있는데요, 그 중 두번째 항목이 우선이라고 생각됩니다... 세상을 향한 도전/인턴, 교육 프로그램, 장학금 2024. 5. 25.
UST 연구 인턴, 연구소와 지도교수님 선택 ( UST 인턴 후기 1편) 앞서 작성한 나노 공학 관련 스펙을 쌓을 수 있는 프로그램 중 하나로 'UST 연구 인턴'을 언급했습니다. 필자의 경우 23년 여름에 인턴십을 수행했는데, 그 때 기억을 되살려 '내가 어떻게 인턴십을 준비했는지', '인턴십을 어떻게 수행했는지', 그리고 '인턴십 경험을 어떻게 활용했는지' 등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제일 먼저 고려할 것은 역시 '어떤 연구소, 어떤 연구실에 지원할까?'인 것 같습니다. UST 인턴십 모집공고를 본 사람은 알겠지만, 선택지가 너무 많아서 오히려 결정이 힘들 정도입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UST 인턴 후기 1편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UST 인턴 개요 UST란 국내에 존재하는 '32개의 정부출연연구원을 활용하여 학위과정을 운영하는 학교'입니다. 즉,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정.. 세상을 향한 도전/인턴, 교육 프로그램, 장학금 2024. 5. 25.
나노공학/반도체 교육 프로그램 모음 - 관심은 있는데, 어떻게 스펙을 쌓아야 할지 모르겠다면 나노공학에 관심 있으신 분들 많으시죠? 하지만 관련 스펙/경험을 쌓기 어려워 고민하시는 분들이 상당히 많을 듯합니다. 저 역시 '나노 공학'이라는 것에 많은 관심이 있었지만, 경험을 쌓아가기가 참 힘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사실 나노 공학은 그 자체로 어떤 학문이라기보단, 물성재료학과 화학 등 여러 학문 분야의 교집합이라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 국내 최고 수준의 대학교(SKY, KAIST 등)에 '나노 공학과'라는게 없듯이요.)  보통 학문적으로, 나노 공학은 '연구 대상이 서브 마이크로(Sub-micro) 아래로 작아져서 벌크(Bulk)에서는 관찰할 수 없던 현상이 나타날 때'를 지칭합니다. 이 때, '벌크에서는 관찰할 수 없던 현상'이란 Classical size effect, quant.. 세상을 향한 도전/인턴, 교육 프로그램, 장학금 2024. 5. 23.